고전 소설(古典小說)의 특징
1. 고전소설의 기준
조선시대부터 ~1906년 신소설의 등장 이전의 소설들 .
2. 최초의 고전소설
● 한문소설 – 김시습의 『금오신화』
● 한글소설 – 허균의 『홍길동전』
3. 고전소설의 유형
전기소설, 몽자류소설, 영웅소설, 군담(전쟁)소설, 애정소설, 가정소설, 우화소설, 판소리계 소설, 풍자소설 등.
4. 고전소설의 특징
1) 서술양상
● 대부분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 신의 시점 : 서술자 개입(=편집자 논평)이 빈번함.
2) 서사의 구성
● 일대기적 구성(주인공의 일생을 다룸) + 서사성(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 전개)이 주를 이룸.
3) 사건의 전개
● 우연성 : 사건이 필연적인 상황이나 원인 없이 우연하게 발생함.
● 비현실성(=전기성) : 도교사상(신선사상, 도술), 샤머니즘(민간신앙, 미신) 등이 나타남.
4) 공간적/시간적 배경
● 대부분 '막연'하고 '추상'적이며, 비현실적인 배경
● '중국 연간'과 '중국 지명'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도 존재
● 『금오신화』와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배경
5) 소설 문체
● 문어체 : 일상에서 두루 쓰는 구어체가 아니라, 글을 쓸 때 사용하는 문체
● 운문체 : 고전소설은 읽기 편하고, 알아듣기 쉬운 리듬감(운율)을 지니고 있음.
즉, 어절의 음절수를 3.4조 또는 4.4조로 구성하여 운율감을 형성함.
판소리가 변형된 판소리계 소설이 여기에 속함
6) 주인공의 인물 특성
● 평면적 인물 : 성격이나 정서가 변하지 않는 인물 ≠ 입체적 인물
● 전형적 인물 : 효, 충, 선, 지, 절, 지, 공, 경, 자, 중 등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대표하는 인물
● 고전소설의 주인공은 대부분 「이인」이자, 「재자가인(才子佳人)」형 인물
7) 소설 모티브
● 조력자 모티브 : 주인공은 반드시 조력자의 도움을 통해 성장, 발전, 성공함.
● 역경 모티브 : 주인공의 어린 시절은 대부분 역경, 고난, 시련의 시간임.
● 영웅 모티브 : 주인공은 주로 이인이자, 재자가인임.
● 하강 및 상승 모티브 : 천상계에서 지상계로(하강), 지상계에서 천상계로(상승)
● 금기 모티브 :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함으로써, 화를 입는 동기.
8) 소설 주제
● 주로 권선징악(權聖徵惡), 사필귀정(事必歸正)
● 유교적 덕목 「인, 의, 예, 지, 신, 충, 효, 절, 지, 공, 경, 자, 중, 선」 등을 주제화
9) 소설 결말
● 주로 ‘행복한 결말’, 조선후기 박지원의 풍자소설은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