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3

고전 소설(古典小說)의 특징

1. 고전소설의 기준 조선시대부터 ~1906년 신소설의 등장 이전의 소설들 . 2. 최초의 고전소설 ● 한문소설 – 김시습의 『금오신화』 ● 한글소설 – 허균의 『홍길동전』 3. 고전소설의 유형 전기소설, 몽자류소설, 영웅소설, 군담(전쟁)소설, 애정소설, 가정소설, 우화소설, 판소리계 소설, 풍자소설 등. 4. 고전소설의 특징 1) 서술양상 ● 대부분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 신의 시점 : 서술자 개입(=편집자 논평)이 빈번함. 2) 서사의 구성 ● 일대기적 구성(주인공의 일생을 다룸) + 서사성(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 전개)이 주를 이룸. 3) 사건의 전개 ● 우연성 : 사건이 필연적인 상황이나 원인 없이 우연하게 발생함. ● 비현실성(=전기성) : 도교사상(신선사상,..

고전산문 2025.04.16

고전산문- 일반호칭 어휘

※ 일반호칭 1. 공(公): 그 사람을 높여 부르거나 이르는 말, 또는 ‘당신’, ‘그대’의 뜻으로, 듣는 이가 남자일 때, 그 사람을 높여 이르던 이인칭 대명사. 2. 생(生) (인명의 성(姓)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는 경우): ‘젊은 남자’을 일컫는 말 3. 공자(公子): 지체가 높은 집안의 나이 어린 아들. 4. 낭자(娘子): 예전에, ‘처녀’를 높여 이르던 말. 5. 존사(尊師): ‘스승’을 높여 이르는 말. ‘도사(道士)’를 높여 이르는 말. 6. 선인[仙人]: 신선(神仙) 또는 도를 닦은 사람. 7. 과객[過客]: 지나가는 나그네 8. 계집: ‘여자’나 ‘아내’를 낮잡아 이르는 말. 9. 동자: 사내아이, 또는 중이 되려고 절에서 공부하면서 아직 출가하지 아니한 사내아이.10. 정렬부인[貞烈..

고전산문 2025.04.13

고전 산문 - 벼슬/ 직책 관련된 어휘

※ 벼슬/직책관련된 어휘1. 한림학사[翰林學士]: 고려 시대에, 학사원·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2. 원수[元帥]: 장성 계급의 하나. 대장의 위로 가장 높은 계급. ※帥 : 장수 수, 통솔자 수 3. 대부[大夫]: 고려·조선 시대에, 벼슬의 품계에 붙이던 칭호. 고려 시대에는 종이품에서 종오품까지 또는 정이품에서 종사품까지의 벼슬에, 조선 시대에는 정일품에서 종사품까지의 벼슬에 붙임4. 사대부[士大夫]: 1. 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 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5. 주부[主簿]: 기록과 문서를 맡아보던 벼슬. 또는 행정 실무를 맡아보던 벼슬6. 사자(使者) : 명령이나 부탁을 ..

고전산문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