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2

고사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

과유불급(過猶不及)過:지날 과. 猶:같을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정도를 지나치는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이는 공자가 중용(中庸), 즉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중정(中正)의 도(道)를 강조한 말이다. 1. 배경이야기 어느 날 제자인 자공(子貢:B.C. 520~456)이 공자에게 물었다.“선생님,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중 어느 쪽이 더 현명합니까?”공자는 두 제자를 비교한 다음 이렇게 말했다.“자장은 아무래도 매사에 지나친 면이 있고, 자하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다.”“그렇다면 자장이 낫겠군요?”자공이 다시 묻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그렇지 않다.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공자는 중용[中庸: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중정(中正)함]의 도..

고사성어 2025.04.25

이데올로기(ideology)에 대한 모든 것

‘이데올로기’라는 어휘는 현대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자주 사용되지만, 그 의미는 결코 단순하지 않다. 우리 사회에서는 남북의 대치 상황 하에 놓여 있기 때문인지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의 대립 구도 속에서 이 어휘가 이념적 낙인의 도구처럼 자주 등장하고 있다. 즉 정치적 논쟁에서는 특정 집단을 ‘이데올로기적’이라고 지칭하며 그들의 사고나 행동을 비합리적이거나 극단적인 것으로 몰아가기도 한다. 이처럼 ‘이데올로기’는 때로는 냉소적인 시선의 대상이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정당한 신념 체계나 사회적 해석의 틀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데올로기란 도대체 무엇인가? 단지 좌우 정치 성향을 가리키는 말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의 사유 방식과 사회 구조를 ..

어휘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