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

거버넌스 - 협치의 시대를 여는 핵심 개념

1. 정부를 넘어선 통치, ‘거버넌스’의 시대 오늘날 우리는 단순한 ‘정부(government)’의 역할을 넘어서서 시민, 기업, 국제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공공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새로운 방식, 즉 ‘거버넌스(governance)’의 시대를 살고 있다. 환경 문제, 인구 고령화, 기술혁명, 불평등 문제 등 단일 기관이 감당하기 어려운 복합적 과제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 되었다. 이에 따라 ‘거버넌스’는 단순한 유행어가 아닌, 오늘날 사회 운영의 새로운 규범이자 실천 원리로 자리잡고 있다. 2. 거버넌스의 어원과 개념 ‘거버넌스(governance)’라는 단어는 라틴어 gubernare(통치하다, 조종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그리스어 kybernan (..

어휘 2025.05.12

‘그래픽 노블’- 이미지와 서사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학 공간

1. 만화인가, 문학인가? 그래픽 노블은 단순한 만화책이 아니다. 그것은 이미지와 글이 결합된 복합 서사 형식으로, 때로는 자전적 고백, 때로는 정치적 고발, 때로는 역사적 기록의 방식으로 독자에게 다가간다. 1978년 윌 아이스너(Will Eisner)가 『A Contract with God』를 출간하며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를 처음 본격적으로 사용한 이후, 이 장르는 문학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갖춘 대안적 서사 매체로 주목받아왔다. 최근 한국에서도 김금숙, 홍지흔 등의 작가들이 한국전쟁, 위안부, 이산가족 등 우리 사회의 민감한 역사적 주제를 다루며 그래픽 노블의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 2. 그래픽 노블의 정의 일반적으로 그래픽 노블은 자기완결적 서사를 가진 장편 만화책 형식을 의미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05.11

노예의 변증법’—인정을 넘어서 진정한 나로

1. 타인의 인정을 욕망하는 인간 – 고대의 이상과 현대의 현실 공자는 『논어』에서 “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남이 나를 몰라줘도 노하지 않는다면, 그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분노하지 않는’ 존재야말로 진정한 자기 수양과 내면의 평화를 이룬 사람이라 보았다. 그러나 현대인은 과연 그럴 수 있을까? SNS에서의 ‘좋아요’ 수, 직장에서의 평가, 친구들의 반응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의 시선 속에서 자신을 확인하고자 한다. 철학자 헤겔은 일찍이 이 문제를 철학적으로 성찰하며, 인간의 자기의식이 타인의 인정을 통해서만 형성된다는 점을 간파했다. 그는 이를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통해 묘사하며, 인간 정신이 어떻게 자기 자신을 완성해 가는지, 그리고 이 과..

철학 2025.05.08

사회주의(socialism)와 공산주의(communism)의 유사성과 차이성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회주의(socialism)와 공산주의(communism)를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하거나 혼동한다. 이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영향과 더불어, 소련이나 중국 등의 국가들이 자국 체제를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로 자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자는 철학적 기원, 실천 방식, 국가 운영 방식, 그리고 이상적 사회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오랫동안 남북이 대립되어 온 우리 사회에서는 이 두 이념은 ‘좌파’, ‘진보’, ‘국가 개입’이라는 일반화된 틀 속에서 오해되기 쉬워 더욱 정밀한 구분이 요구된다. 1. 어원 및 개념, 목적 ✅ 사회주의 (Socialism) ● 어원: 라틴어 socius (‘동료’, ‘공동’)에서 유래했다. ● 의미: 생산수단의 공동 소유 또는 사회적 소유를 지..

카테고리 없음 2025.05.02

'공정(公正)'과 '공평(公平)’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공정’과 ‘공평’은 사회적 갈등이나 정책 논쟁의 핵심어로 자주 등장한다. 대학 입시, 복지 정책, 노동 시장 등에서 이 두 어휘는 유사하게 쓰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른 의미와 가치, 그리고 기준을 가지고 있다. 본 글에서는 공정과 공평의 어원적 차이, 의미적 구분, 현실에서의 쓰임을 비교하여 이 둘이 지닌 철학적·사회적 함의를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1. 공정(公正)과 공평(公平) 의 어원 비교어휘어원의미공정(公正) 公: 공적이고 사사롭지 않음 正: 바름, 정의 규칙이나 법에 따라 바르게 처리하는 것. 공평(公平)公: 마찬가지로 공공성平: 평등, 균형누구에게도 치우침 없이 대우하는 것. ‘목적(目的)’과 ‘목표(目標)’의 차이일상생활, 학업, 직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우리는..

어휘 2025.05.02

고사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

과유불급(過猶不及)過:지날 과. 猶:같을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정도를 지나치는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이는 공자가 중용(中庸), 즉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중정(中正)의 도(道)를 강조한 말이다. 1. 배경이야기 어느 날 제자인 자공(子貢:B.C. 520~456)이 공자에게 물었다.“선생님,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중 어느 쪽이 더 현명합니까?”공자는 두 제자를 비교한 다음 이렇게 말했다.“자장은 아무래도 매사에 지나친 면이 있고, 자하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다.”“그렇다면 자장이 낫겠군요?”자공이 다시 묻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그렇지 않다.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공자는 중용[中庸: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중정(中正)함]의 도..

고사성어 2025.04.25

이데올로기(ideology)에 대한 모든 것

‘이데올로기’라는 어휘는 현대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자주 사용되지만, 그 의미는 결코 단순하지 않다. 우리 사회에서는 남북의 대치 상황 하에 놓여 있기 때문인지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의 대립 구도 속에서 이 어휘가 이념적 낙인의 도구처럼 자주 등장하고 있다. 즉 정치적 논쟁에서는 특정 집단을 ‘이데올로기적’이라고 지칭하며 그들의 사고나 행동을 비합리적이거나 극단적인 것으로 몰아가기도 한다. 이처럼 ‘이데올로기’는 때로는 냉소적인 시선의 대상이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정당한 신념 체계나 사회적 해석의 틀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데올로기란 도대체 무엇인가? 단지 좌우 정치 성향을 가리키는 말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의 사유 방식과 사회 구조를 ..

어휘 2025.04.25

사고(思考)와 사색(思索), 그리고 사유(思惟)의 차이

‘생각’은 인간의 본질적 능력 중 하나이다. 우리말에서 '생각하다'는 뜻을 가진 단어들인 사고(思考), 사색(思索), 사유(思惟)는 단순한 동의어가 아니다. 이들은 모두 ‘생각’이라는 공통의 의미를 가지면서도 어원, 생각의 깊이, 그리고 적용 맥락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각 단어의 어원, 철학적 의미, 현대 사회에서의 사용 사례를 비교하여 이 어휘들 간의 미묘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1. 어원적 비교 어휘한자의미어원적 뉘앙스사고思考생각 사 + 생각할 고사물에 대해 분석적으로 생각함사색思索생각 사 + 찾을 색깊이 있게 찾아 들어가는 내면적 사고사유思惟생각 사 + 오로지 생각할 유순수하고 근본적인 존재론적 사유※ 사고(思考)는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논리적 판단의 활동을 의미한다. ※ 사색(思..

어휘 2025.04.24

도덕(morality)과 윤리(ethics)

현재 우리는 고도의 기술사회에 살고 있는데, 이런 시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라고 할 것이다. 이때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도덕(morality)과 윤리(ethics)이다. 비록 두 개념은 일상적으로 혼용되지만, 어원에서부터 사회적 역할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를 지닌다. 본 글은 이 둘의 차이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고 자 한다.1. 도덕과 윤리의 비교구분도덕 (道德 / Morality)윤리 (倫理 / Ethics)어원‘도(道)’: 길 / ‘덕(德)’: 실천‘윤(倫)’: 인륜 / ‘리(理)’: 이치서양어라틴어 mos (관습)그리스어 ethos (성품, 규범)성격전통과 문화에 기초한 사회적 규범도덕 판단을 분석하는 철학적 탐구판단 기준공동체 내의..

어휘 2025.04.22

사상(思想)"과 "주의(主義)

"사상(思想)"과 "주의(主義)"는 일상생활뿐 아니라 철학, 정치, 사회 전반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둘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둘 사이의 어원적 고찰 및 의미상 차이, 실제 쓰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1. 사상(思想)과 주의(主義)의 어원 ✅ 사상(思想)의 어원 ● 한자어: 思(생각 사) + 想(생각 상) : ‘생각하고 또 생각함’ ● 유래: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깊이 사고하는 행위'를 뜻함 ● 영어 대응어: "Thought", "Idea", "Philosophy"에 가깝지만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음 ✅ 주의(主義)의 어원 ● 한자어: 主(주인 주) + 義(옳을 의/뜻 의): ‘중심이 되는 뜻이나 주장’ ●..

어휘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