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

고사성어 -곡학아세(曲學阿世)

곡학아세(曲學阿世) 曲:굽을 곡. 學:학문 학. 阿:아첨할 아. 世:인간‧세대 세. [유사어] 어용학자(御用學者). ‘곡학아세(曲學阿世)’란 학문의 정도(正道)를 굽혀 세속 사람들에게 아첨한다는 뜻이다. 이 성어는 한나라 경제(景帝) 때, 올곧고 고결한 선비 원고생이 젊은 학자 공손홍에게 바른 학문의 가치를 일깨워준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1. 배경 이야기 한(漢)나라의 제6대 황제인 경제(景帝, 재위 B.C. 157~141)는 즉위 초부터 덕망이 높고 뛰어난 선비들을 천하에 널리 구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산동(山東) 지역에 살고 있던 원고생(轅固生)이라는 학자의 명성이 황제의 귀에 들어갔다. 원고생은 당시 이미 나이가 90세에 달할 정도로 고령이었지만, 곧은 성품과 깊은 학식을 지닌 대쪽 같은..

고사성어 2025.04.16

고사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

군계일학(群鷄一鶴)鷄‧雞:닭 계. 群‧羣:무리 군. 一:한 일. 鶴:학 학. [유사어] 낭중지추(囊中之錐), 백미(白眉), 출중(出衆) 군계일학(群鷄一鶴)은 "닭의 무리 가운데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 특별히 뛰어난 한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이다. 닭은 일반적으로 평범하고 유순한 동물로 여겨지는 반면, 학은 고고하고 우아하며 뛰어난 기품을 상징한다. 따라서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압도적으로 빛나는 존재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이다. 1. 배경이야기 이 고사성어는 중국 위진 시대(魏晉時代)의 실존 인물에서 비롯된 이야기이다. 이 시기에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이라고 불리는 일곱 명의 뛰어난 문인과 철학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노장사상과 허무주의 철학에 기반한 ‘청담’(淸談)을 즐기며..

고사성어 2025.04.15

헷갈리는 문학 용어

1. 정서적 합일 vs 감정 이입 정서적 합일이란, 어떤 대상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화자도 동일하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쉬운 예로, 우리가 슬픈 영화를 보면서, 영화 속 주인공의 고통과 슬픔을 마치 내 것인 양 온전히 느끼며 같이 눈물 흘리고 고통스러워하는 것이 바로 정서적 합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감정이입’에서는, 감정이입의 대상이 실제로 화자와 동일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내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새가 우는구나’라고 말했다면, 이 때 새는 실제로 슬퍼서 울고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화자 자신이 너무나 슬프니까 저 새도 슬피 울고 있다고 착각한 거죠. (아무 감정 없는, 혹은 화자의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 객관적 대상에 화..

어휘 2025.04.15